John Pawson
and his
Home Farm

  • Photography by Aya Sekine
  • Hair & Makeup for Catherine by Victoria Poland
  • Interview & Text by Kosuke Ide
  • Interview Interpretation by Kozue Etsuzen

미니멀리즘의 미학을 완성한 세계적 건축 디자이너가 시골집으로 선택한 영국 중부 코츠월즈 지역의 오래된 농가.
이곳에서의 생활은 놀라움의 연속이었습니다.

미니멀 아트의 거장, 도널드 저드(Donald Judd)의 트리오 의자만이 놓여 있는 현관은 머드룸이라기에는 너무 깨끗했습니다. “괜찮아요. 신발 신고 들어오세요.” 현관에서 망설이고 있던 촬영팀을 건축가가 커다란 창유리 너머에서 불러들였습니다. 1995년 캘빈 클라인 뉴욕 플래그십 스토어부터 2016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까지, 수많은 업적을 자랑하는 존 포슨(John Pawson)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니멀리스트 스타일의 대가입니다. 그가 보여주었던 놀랍도록 완벽하게 설계된 공간을 떠올리며 긴장하고 있던 우리를 그가 편안하고 다정한 미소로 맞이했습니다.

런던에서 북쪽으로 차로 2시간 거리에 있는 코츠월즈는 자연이 살아있는 구릉지대로 양모 무역이 번성하며 개발된 지역입니다. 그 시대를 상징하는 전통가옥은 벌꿀색 석회석으로 지어져 있습니다. 마을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집들이 영국의 옛 모습을 떠올리게 합니다. 포슨의 빌라는 클래식한 외관을 간직하고 있어서 미니멀리스트의 집처럼 보이지 않았지만, 안으로 들어가는 순간 괜한 의심이었음을 깨닫게 됩니다.

안으로 들어가 오른쪽으로 가면 거실이 있고, 그 너머로 커다란 식당과 주방이 있습니다. 건물을 따라 길게 이어진 흰색의 공간 중앙에는 외부에서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미니멀리스트의 가구와 행잉 램프가 비추는 아일랜드 주방, 8인용 식탁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10cm 스테인리스 판과 콘크리트 바닥, 서쪽 마당과 이어지는 대형 수직 슬라이딩 창문, 은은한 빛으로 채워진 공간이 인더스트리얼 스타일을 떠올리게 하면서도, 아치형 천장의 노출된 목재 대들보와 흰색으로 칠한 벽돌 벽의 거친 질감이 신선하고 유기적인 따뜻함을 느끼게 합니다.

“원래 이 집의 기둥과 바닥재가 모두 느릅나무 소재여서 주방과 찬장도 같은 소재를 사용했습니다. 예전에는 느릅나무를 건축자재로 흔하게 사용했는데 안타깝게도 질병으로 인해 이 지역에서 자취를 감추고 말았습니다. 이 집에서 새로 사용한 소재는 독일에서 들여온 80피트 높이의 느릅나무 두 그루를 사용하여 만든 것입니다.”

포슨은 가구와 조명뿐만 아니라 스위치와 문 손잡이부터 수도꼭지와 글라스까지, 모든 부분을 직접 디자인했습니다. 방을 돌며 모든 디테일을 설명하는 그의 모습은 에너지와 생명력이 넘쳤습니다. 70대에 접어든 포슨이 시골에서 조용하게 살기 위해 이곳을 선택했을 거라는 우리의 추측은 이번에도 빗나간 것처럼 보였습니다.

코츠월즈 석재 건물과 조화롭게 대비되는 남쪽의 주방은 전동식 슬라이딩 창문을 통해 외부와 바로 연결된다. 젊은 시절 일본에서 유학했던 포슨의 건물에서는 일본 전통 건축의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이 농가는 존과 아내 캐서린이 소란스러운 일상에서 벗어나 애견 로키와 함께 재충전할 수 있는 장소이다.

도널드 저드가 디자인한 의자가 현관을 장식하고 있다. 옆쪽 거실에는 도널드 저드의 1979년작 서재용 베드가 자리 잡고 있다.

건축가이기에 보였던 ‘농가’의 잠재력

“예전부터 아내 캐서린이 장미로 둘러싸인 시골집에 살고 싶어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런던을 떠나고 싶지 않았죠. 런던에서 최고의 성공을 거두었는데 어떻게 떠날 수 있었겠습니까? 그런데 아내가 2012년에 이 집을 발견했을 때 ‘이게 우리가 계속 찾던 그 집이다’ 싶더군요. 이곳의 잠재력이 또렷하게 보였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았을 것들이죠.”

포슨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 집은 1610년 건너편에 있던 저택의 ‘농가’로 지어졌습니다. 포슨 부부가 이곳을 매입하기 전에는 낙농업을 운영하는 가족의 9남매가 소유하고 있었고 그들 중 2명이 60년 넘게 거주했다고 합니다. 그들은 본채에서 증축된 건물에 살고 있었고 나머지 공간은 농기구와 잡동사니로 채워져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모습을 보면 청소가 얼마나 힘들지, 비용이 얼마나 많이 들지를 떠올리며 당황스러워 했을 것입니다.

“직업적 본능이 깨어났습니다. 이 건물은 뼈대가 훌륭해서 현대적으로 업데이트하면 그 특징을 살릴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옛 헛간과 마구간을 농가에 연결하여 하나로 이어지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이는 모두 접근방식의 문제였습니다. 건물이 서쪽을 향하고 있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햇빛이 들어옵니다. 마을이 뒤쪽에 있어서 멀리 펼쳐져 있는 멋진 자연 경관을 볼 수 있습니다. 이곳은 마을의 일부이지만 사생활이 보장되는 이상적인 위치였습니다.”

포슨은 약 6년간의 리노베이션 작업에서 헛간과 마구간을 생활공간과 ‘연결’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결과 양방향으로 뻗어가는 날개처럼 연속적인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이 설계의 특징은 양쪽 끝에 주방이 있다는 것입니다.

“처음에 우리 부부가 했던 생각은 아이들이 가족과 함께 주말에 방문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자는 것이었습니다. 그들도 오고 싶어 하는 매력적인 공간이요. 지금은 아이들이 주말에도 들르고 일주일 내내 머물기도 합니다. 이곳은 친구와 가족들이 함께 모여서 서로 음식을 나눠 먹는 장소가 되었습니다. 제가 자란 집에서는 항상 주방이 집의 중심이었고 가족이 모여 함께 식사를 했습니다. 제 아들이 요리를 좋아해서 아들이 이곳에 오면 항상 함께 식사를 하려고 합니다. 문제는 두 개의 주방이 떨어져 있어서 우유가 있는 냉장고까지 수백 걸음을 걸어가야 하고 버터가 있는 냉장고로 가려면 집을 가로질러야 한다는 겁니다. 그럼 어떻게 될까요?” 포슨이 주머니에서 만보계를 꺼내 보이며 “오늘 벌써 거의 1마일을 걸었습니다”라고 말하며 웃었습니다.

1층에는 서재와 독서실이 있고 2층에는 욕실이 딸린 침실 3개가 있습니다. 또한 자갈이 깔린 마당을 지나면 나오는 마구간을 개조한 게스트하우스를 포함하여 총 27개의 방이 있습니다. 총 면적은 24에이커(약 293,080평) 입니다. 포슨은 애견 로키와 함께 연못 주변을 산책합니다. 이곳에서는 여유가 일상처럼 느껴집니다.

“인터뷰를 앞두고 옷장을 살펴보다가 유니클로 재킷 두 벌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제가 옷에서 추구하는 가치는 퀄리티와 베이직이고 그런 의미에서 유니클로는 완벽한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역사와 호흡하는 영원한 존재

역사와 호흡하는 영원한 존재

“팬데믹 이전에 리노베이션을 마무리했습니다. 타이밍을 의도했던 건 아닌데요. 이곳에서 계속 살 생각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잠시 머무는 동안 완전히 빠져들고 말았습니다. 지금은 주말마다 찾고 여름에 한 달 정도를 이곳에 머뭅니다. 가장 놀라운 점은 바깥의 풍경이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수백 년의 역사를 담고 있다는 것입니다. 과거의 추억과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는 시골 생활이 공존합니다. 마치 소설 속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는 기분입니다.”

아름다운 강물이 흐르는 서쪽 언덕의 풍경을 보며 포슨이 사색에 잠겼습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마다 신축이든 리노베이션이든, 그 지역의 건물과 식물 생태계, 지형까지 모든 분야를 조사합니다. 이 집도 마찬가지 였습니다. 이와 관련된 역사가 적힌 문헌을 모두 읽었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우리가 발견한 모든 것을 무시해야 했습니다. 모든 역사적 정보를 흡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역사에 발목이 잡혀서는 안 됩니다. 저만의 설계를 해야 했고 현대적이고 모던해야 했습니다. 모든 단계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마다 세심하게 신경을 썼습니다. 우리는 이 디자인이 오래 지속되기를 바랐고 세대를 이어 사용하고 즐길 수 있었으면 싶었습니다. 따라서 패셔너블하고 화려한 무언가가 아니라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진정성 있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포슨이 디자인한 램프가 서까래에 매달려 있고, 그 아래에는 창문과 너비가 같은 12피트 테이블이 한스 웨그너(Hans Wegner)의 위시본(Wishbone)의자에 둘러싸여 있다.

전통적인 석회석 회반죽으로 집의 벽 대부분을 마감했고 선반과 테이블 상판, 욕실 카운터는 이탈리아 사우스 티롤의 스텔비오(Stelvio)국립공원에서 채석된 화이트 라사 대리석을 사용했다.

포슨은 역사는 존중되어야 하지만 오래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보존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스타일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지속될 수 있는 것들을 보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좋은 것은 남기고 그렇지 않은 것은 포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순환의 중심에는 “적을수록 더 좋다”는 미니멀리즘의 핵심 개념이 담겨 있습니다. 평생에 걸쳐 과도한 디테일을 거부하고 역사에 진지하게 도전해온 건축가는 다음 세대가 자신의 건물을 어떻게 받아들이기를 원할까요?

“그건 저의 고객이 무엇을 원하느냐에 달려 있겠죠. 제 디자인의 목표는 영원성을 가지는 것이지만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최선을 다하는 것뿐입니다. 제가 바라는 게 있다면 수년간 사용된 후에도 제 건물이 버려지지 않고 다음 세대의 삶 속에서 계속 가치 있게 사용되는 것입니다. 정말 행복했던 순간은 저의 세 아이들이 모두 저에게 집 설계를 부탁했을 때입니다. “아빠가 만들어 주세요”라고 했을 때 정말 기뻤습니다. 아이들이 제가 지은 집에서 행복해 한다면 그거야말로 제가 다음 세대에게 들을 수 있는 최고의 칭찬이라고 생각합니다.”

- John Pawson’s Works

  • ©Friederike von Rauch

    The Design Museum

    런던 디자인 뮤지엄 개조작업 감독. 1962년 커먼웰스 인스티튜트(Commonwealth Institute)를 위해 건축되었던 건물로 문화 전시 공간으로 재건축되었다.
    2010~2016년.

  • ©Douglas Tuck

    Paros House I

    그리스 파로스 섬의 1층짜리 게스트하우스. 수영장 주변을 L자로 둘러싸고 큐브형 구조물이 겹겹이 세워져 있다.
    2008~2016년.

  • ©Nacasa & Partners Inc.

    Cathay Pacific Lounges

    홍콩 첵랍콕 공항의 장거리 탑승객을 위한 캐세이 패시픽 라운지 더 윙(The Wing)인테리어.
    1995~1998년.

  • ©Beth Evans

    Ellipse Collection for Salvatori

    비앙코 카라라 대리석으로 만든 유명 디자이너 살바토리의 테이블웨어 시리즈.
    2018~2019년.

  • Home Farm Cooking

    요리와 음식을 주제로 한 책. 포슨 가족의 집과 주변에서 찍은 사진이 시즌별로 정리되어 있으며 존의 아내인 캐서린이 자주 만드는 100가지 요리를 소개하고 있다. 2021년(Phaidon 출판).

- Personal Timeline

  • 1949

    영국 북부 요크셔주 헬리팩스 출생.

  • 1973

    일본 나고야에서 3년간 영어교사로 일하던 중 도쿄에서 구라마타 시로(Shiro Kuramata)와 만남.

  • 1981

    런던에 건축 사무소 설립.

  • 1995

    캘빈 클라인 뉴욕 플래십 스토어 설계로 명성을 얻음.

  • 2008

    레이크 크로싱(Lake Crossing)으로 영국왕립건축협회의 스티븐 로렌스 상(Stephen Lawrence Prize) 수상.

  • 2010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플레인 스페이스(Plain Space)」 전시회 개최.

  • 2019

    농가 리노베이션 완료. 설계 및 건축에 기여한 공로로 대영제국 훈장 CBE 수상.

John Pawson | 존 포슨

Architectural Designer

1949년 영국 북부 요크셔주 핼리팩스 출생. 가업인 직물회사에서 일하다가 몇 년 간 일본에 머물며 교사로 활동했다. 도쿄에서 멘토인 구라마타 시로를 만나 그의 스튜디오에서 생활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후 런던 건축협회학교에 입학했고 1981년 개인 사무소를 열었다. 그의 설계로는 작가 브루스 채트윈(Bruce Chatwin)의 아파트, 체코 노베 드뷔르 성모 수도원(Abbey of Our Lady of Nový Dvůr), 텔아비브의 자파(Jaffa) 호텔, 수많은 개인 주택, 공공건물, 제품 등이 있다. 건축학적 접근을 통해 장식을 최소화한 그의 미니멀리즘 디자인은 세계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Share This Page